최근 구축 데이터 좌표계 변경에 관한 내용을 다룰 일이 있어서 해당 좌표계 wkt 코드를 읽는 법을 정리하여 둔다.
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 EPSG:5186
EPSG.io: Coordinate Systems Worldwide
EPSG.io: Coordinate systems worldwide (EPSG/ESRI), preview location on a map, get transformation, WKT, OGC GML, Proj.4. https://EPSG.io/ made by @klokantech
epsg.io
PROJCS["Korea 2000 / Central Belt 2010",
GEOGCS["Korea 2000",
DATUM["Geocentric_datum_of_Korea",
SPHEROID["GRS 1980",6378137,298.257222101],
TOWGS84[0,0,0,0,0,0,0]],
PRIMEM["Greenwich",0,
AUTHORITY["EPSG","8901"]],
UNIT["degree",0.0174532925199433,
AUTHORITY["EPSG","9122"]],
AUTHORITY["EPSG","4737"]],
PROJECTION["Transverse_Mercator"],
PARAMETER["latitude_of_origin",38],
PARAMETER["central_meridian",127],
PARAMETER["scale_factor",1],
PARAMETER["false_easting",200000],
PARAMETER["false_northing",600000],
UNIT["metre",1,
AUTHORITY["EPSG","9001"]],
AUTHORITY["EPSG","5186"]]
샘플로 EPSG:5186을 통해 알아 보자먼저
PROJCS : 투영 좌표계 - Korea 2000/ Central Belt 2010 : 좌표계 명칭
GEOGCS : 지리 좌표계 (투영좌표계가 지구라면 이 좌표계는 지구본) - Korea 2000 : 좌표계 명칭
* EPSG:4737이라는 지리 좌표계를 투영하여 만든것이 EPSG:5186 좌표계
DATUM : 지구의 형태와 모습을 정의한 요소
* EPSG : 4737은 Geocentric_datum_of_korea라는 DATUM을 기반으로 하는 좌표계
SHEROID : GRS 1980이라는 명칭을 가진 실제 지구를 3D 모형화(모델링) 한 것 - 타원체
* 6378137 - 장축(지구는 타원체임으로 가장 긴 반지름(m)을 나타낸것)
* 298.257222101 - 편평률 (지구가 얼마나 평평한지를 나타내는 것 수치가 작을 수록 원형에 가까움)
TOWGS84 : 해당 타원체를 WGS84와 일치 시키려면 얼마나 이동시켜야 하는 지를 나타냄
PRIME : 경도의 기준점 - 그린위치 천문대(영국 런던에 위치)를 경도 0으로 기준으로 설정
AUTHORITY : 별거아님 PRIMEM[Greenwich... 를 정의하는 EPSG코드
* EPSG는 좌표계 코드가 아닌 특정 무언가 (단위, 기준, 좌표계 등등)을 나타내기 위한 코드값이다.
UNIT : 각도(degree단위) 1도 = 0.01745... 라디안
AUTHORITY : 이하 생략
PROJECTION : 본 좌표계는 TM(Tramsverse_Mercator) 방식을 통해 투영하였음.
* 투영 방식의 경우 공부가 더 필요함.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tistory.com)
TM, UTM 좌표계
TM(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평면 직각 좌표계의 하나로 측량 범위가 넓지 않은 지역의 측량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평면 직각 좌표계와 같이 좌표원점을 정하고 원점을 지나는 경선을 X축, 위선을
sambalim.tistory.com
PARAMETER : 각각 투영을 위한 인자값들
* latitue_of_origin, central_merdiam의 경우는 투영 기준점 (원점)
* false_easting, false_northing은 가상 원점이다. - 가상원점은 음의 부호를 가지는 좌표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함.
참고
qgis vs arcgis (0) | 2024.07.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