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를 돕기 위한 비유
작업공간 - worcespace
- 작업공간 생성시 기본 작업공간 등록 해놓아야 편함.
저장서 - db (postGIS 예시)
레이어 - table (db에 등록된 geom 속성을 가진 테이블)
- 레이어 발행
1. 저장소 선택
2. 공간 좌표 체계에서 좌표계 확인. => postgre 혹은 qgis 활용하여 좌표계 변경 가능.
2. 레이어 최소경계 영역 선택
3. 그외 설정 등록
* 만약 레이어가 많을 경우 rest API를 통해 일괄 등록 가능 - document 추가로 살펴 보아야 함.
* 새로운 레이어 생성 -> 데이터 항목의 '원본 이름은 테이블 명과 달라도 상관 없으나 한글로는 발행하지 말 것' -> 이름은 geoserver가 아닌 워크스페이스(저장소)에서 고유하여야 한다.
* 만약 다른 워크 스페이스에서 호출 할 경우 불러오는 워크 스페이스에 동일한 테이블이 있다면 워크스페이스 명을 같이 입력하여 구분할 수 있다.
* 발행된 레이어 인코딩이 맞지 않을 경우 해당 파일 인코딩을 확인하고 저장소에서 바꿔 주어야 한다. (x-window-949 == UTF8)
- 레스트 파일 레이어 발행
* raster데이터의 nodata 항목 -> nodata = 분석시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지칭하는 컬럼 (사용자 정의 값.)
* geotiff 저장소 팔행시 파일 단위로 발행 해야 한다. => 불편... shp는 디렉토리 단위로 가능.
* raster 파일의 경우 정확한 wkt 형식으로 좌표계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좌표계가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 검색해서 별도로 넣어주어야 함.
- SLD란
geoserver 등 wms 서비스를 위한 스타일링에 사용하는 OGC 표준 규약 (xml 형식) => 교육 자료 88page
* 상위 작업으로 갈수록 SLD의 역할이 중요해짐.
geo web cache (0) | 2023.02.02 |
---|---|
OGC Web Service (0) | 2023.02.01 |
geoserver sld 튜닝 (함수 사용) (0) | 2023.02.01 |
geoserver 스타일 적용하기 (0) | 2023.02.01 |
openLayers 레이어 추가시 구조 (0) | 2023.01.03 |